나오시마섬의 이우환 미술관, 그리고 안도 타다오와의 대화

반응형
250x250
    728x90
    반응형

     

    이우환 미술관에 대한 도록

     

    일본 나오시마는 <베네세 아트 사이트 나오시마> 라는 프로젝트로 지추 미술관을 비롯하여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미술관이 3개 정도 흩어져 있다. 그 중 이우환의 작품들을 전시하는 '이우환 미술관 Lee Ufan Museum'이 있고 해당 공간에 대한 설명과 사진들을 수록한 도록이 존재한다. 이 도록은 해당 미술관에서만 구입이 가능한데, 그 책의 내용 중 이우환과 안도 타타오가 미술관을 두고 미술관에 담으려고 한 가치, 계획 방향 등에 대한 대화가 있어 옮겨 보았다. 

     

    benesse-artsite.jp/en/art/lee-ufan.html

     

    Lee Ufan Museum | Art | Benesse Art Site Naoshima

    View a museum guide and fees for the Lee Ufan Museum in Naoshima, plus information on artists and programs, etc.

    benesse-artsite.jp

     


     

    이우환과 안도 타다오의 대화

     

    Tadao Ando: For the last ten years I have been participating in a culture project in Aix-en-Provence in the south of France. Whenever I go there to work, I pay several visits to the valley where the Senanque Abbey is located. Senanque Abbey was built by Cistercian monks at the end of the twelfth century, during what is known as the Romanesque period. Designed according to the strict rules of the order, it is a very stoic stone building. All ornamentation is eliminated and the architectural elements are pared down to an extreme degree. Light enters through small windows in the thick stone walls, enlivening the surface of the rough stones on the floor. This space of pure and beautiful light ha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me as an architect. While walking in the cloister of the Senanque Abbey one day, I thought to myself, "Lee's gallery in Naoshima should be a place with these same qualities." Just as the monks of the Middle Ages sought an ideal place in the Senancole Valley, cut off from the vulgar world, Naoshima is an island separated from the everyday world where a new type of art is being proposed. Your work adds an extra level of purification to the concepts being applied in Naoshima. It seemed to me that the build-ing that houses your work should be a simple space that, like the Senanque Abbey, emits a strong sense of spiritual strength.

     

    안도 타다오 : 지난 10년 동안 저는 프랑스 남부의 엑상 프로방스에서 문화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일하러 갈 때마다, 세냥크 수도원(Senanque Abbey)이 있는 계곡을 여러 차례 방문했습니다. 세냥크 수도원은 로마네스크 시대로 알려진 12 세기 말에 Cistercian 수도사에 의해 지어졌습니다. 엄격한 명령 규칙에 따라 설계되었으며 매우 금욕적인 석조 건물입니다. 모든 장식이 제거되고 건축 요소가 극도로 축소됩니다. 두꺼운 돌담의 작은 창문을 통해 빛이 들어와서 바닥의 거친 돌 표면을 활기차게 합니다. 이 순수하고 아름다운 빛의 공간은 건축가인 저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느 날, 세낭크 수도원의 회랑을 걷는 동안 나는 "나오시마에 있는 이우환의 갤러리는 이런 특성을 가진 곳이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중세의 승려들이 저속한 세계와 단절된 세난콜(Senancole) 계곡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찾았듯이 나오시마는 새로운 유형의 예술이 제안되는, 일상 세계와 분리된 섬입니다.

    당신의 작업은 이러한 나오시마에서 적용되는 개념에 추가적인 레벨의 정화(purification)를 더합니다. 당신의 작품을 보관하는 건물은 세낭크 수도원처럼 강한 영적 힘을 발산하는 단순한 공간이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Lee Ufan: I have followed your architecture for a long time and read books and discussions about it, so I have had a desire to work with you. In particular, I have been impressed by the long walls in your buildings and your unique way of dividing up space, which utilizes the dual qualities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In most architecture, everything is left open or everything is enclosed. On the inside, for example, the things that a person is thinking become central. On the outside, there are various elements that one cannot control. Concrete, a material that has been given a role in modern society and industrial cities, is often used as a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My work is concerned with sites and spaces where inside and outside are both separated and joined together, and this is a reason that I wanted to work with you.

     

    이우환 : 오랫동안 당신의 건축을 따라 가며 책과 토론들을 읽었기 때문에 함께 일하고 싶었습니다. 특히 건물의 긴 벽과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이중적 특성을 활용한 공간 분할 방식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대부분의 건축에서는 완전히 열려 있거나 모두 밀폐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 속에서는 사람의 생각이 중심이 됩니다. 반면 바깥의 다양한 요소들은 통제할 수 없습니다. 현대 사회와 산업 도시에서 사용되는 소재인 콘크리트는 내부와 외부의 경계로 자주 사용됩니다. 나의 작업들은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면서도 동시에 결합되는 대지와 공간에 관한 것이므로 당신과 함께 작업하고 싶었습니다. (내외부의 경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안도의 작업과 유사하다는 의미)

     

    Ando: I am also familiar with your work. Your art is always changing, and I have the feeling that the source of your work is a search for an ultimate world. What I mean by "ultimate world" is a zero world that contains endless possibilities, a world that might be described by the word "mu," nothingness. The person looking at the work can interpret it in any way he wishes. It is that all embracing. Artists struggle with their inner selves to get as close to "mu" as possible. You are probably engaged more earnestly or pas-sionately in such a struggle than anyone else I know of. That is why you can continue working in a state of great tension. And that is also why it is said that "Lee is difficult." (laughs)

     

    안도 : 저도 당신의 작업에 익숙합니다. 당신의 예술은 항상 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작품의 근원은 궁극적인 세계(ultimate world)를 찾는 것입니다. 내가 의미하는 "궁극의 세계"는 끝없는 가능성을 포함하는 영의 세계, "무"라는 단어로 설명 될 수 있는 세계, 무(無, nothingness)입니다. 작품을 보는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을 포용하는 것입니다. 예술가들은 가능한 한 "mu"에 가까워지기 위해 내면의 자아와 씨름합니다. 당신은 아마도 내가 아는 다른 누구보다 그러한 투쟁에 더 열렬하거나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것이 당신이 큰 긴장 상태에서 계속 일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이우환은 어렵다"고 말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웃음)

     

    Lee: (laughs)

     

    이우환 : (웃음)

     

    Ando: By way of comparison, my work entails the process of putting an idea into architectural plans as creative expression, but when we get to the stage of actual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work together with craftsmen, carpenters, plasterers, and construction foremen. In the real world, the role of coor-dinating the building process is extremely important, so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se two aspects of architecture, the as-pects of creative thinking and realistic action. I don't think that artists are faced with the same amount of conflict between these two areas, so it is probably more diffi-cult for them to maintain tension in their work. I believe that the value of contemporary art depends on how much it opens up a rich world of imagination for the view-er via a certain kind of difficulty. Your work always contains this sort of difficulty filled with rich potential. I thought about many different things while I was looking at your work for Naoshima. In some places, you weren't sure what to do. In other places, you had already decided. This sort of thing is what I find interesting about working with an artist.

     

    안도 : 비교해 보면 제 작업은 아이디어를 창의적인 표현으로 건축 계획에 담는 과정을 수반하지만, 실제 건설 단계에 이르면 장인, 목수, 미장이, 그리고 건설 감독들이 현실 세계에서 건축 과정을 조정하는 역할은 매우 중요하므로 건축의 이 두 가지 측면, 즉 창의적 사고와 현실적인 행동의 측면 사이에서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습니다.

    작가들은 이 두 영역 사이에 똑같은 갈등을 안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에서 긴장을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려울 것입니다.

    현대 미술의 가치는 어떤 어려움을 통해 얼마나 관람자에게 풍부한 상상력의 세계를 열어주는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신의 작업에는 항상 이런 종류의 풍부한 잠재력으로 가득 찬 어려움이 있습니다. 나오시마의 작품을 보면서 여러 가지 생각을 했습니다. 어떤 장소에서는 당신은 무엇을 해야 할지 잘 모릅니다. 다른 장소에서는 이미 결정한 것이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제가 아티스트와 함께 일하면서 흥미로워 하는 부분입니다.

     

    Lee: Yes, that's true. In carrying out a project with other cre-ative people, there will sometimes be conflicts as you move ahead.

     

    Lee : 네, 맞습니다. 다른 창의적인 사람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진행하면서 갈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Ando: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pole in front of the building.

     

    안도 : 건물 앞 기둥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Lee: Yes, that thing like a stone pillar.

     

    이우환 : 네, 돌기둥 같은 거요.

     

     

    들어가는 입구에 50m 높이로 설치된 콘크리트 기둥

     

    Ando: It is actually concrete, but as it stands there solidly, it creates a sense of strangeness or tension. I think that this kind of tens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rt that has prearranged harmony or a sense of peace is not very interesting. This unusual form has emerged from the intersection of various ideas that you have developed. Since it stands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I wonder what sort of influence it might have on the other artworks. In any case, when you said you needed to put a pillar there, I wondered what you were thinking.

     

    안도 : 실제로는 구체적이지만 굳건히 서 있기 때문에 묘함이나 긴장감이 생깁니다. 이런 긴장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전에 조화를 이루거나 평화를 느끼는 예술은 그다지 흥미롭지 않습니다. 이 특이한 형태는 당신이 개발한 다양한 아이디어의 교차점에서 나왔습니다. 건물 입구에 있기 때문에 다른 작품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어쨌든 거기에 기둥을 놓아야한다고 말했을 때, 나는 당신이 생각하는 것이 궁금했습니다.

     

    Lee: There was no concrete pillar at first. In my own mind, I had been thinking that I wanted something like a cave or a shelter, in short, a structure like a hideout. That is, the work would be hidden at first. Then you drew your plans. As the concrete parts gradually took form, at some point, I realized, "This is how it is going to be." Looking at it from the front, one sees a wall containing a sense of tension running horizon-tally in a straight line 50 meters long. It suddenly occurred to me that this alone was not enough to give movement to the space. I thought that some kind of suggestion was necessary. In contrast to the wall extending horizontally and connecting the mountains on both sides, there is a thin vertical element that extends -high in the air. A vertical pole would have been all right by itself, but it would have been almost too symbolic, so I put a stone like a round point and a steel plate like a plane on the ground surface nearby. A steel plate is extracted and abstracted from natural stone and concrete is made of stony material that is powdered and then solidified, so I think that there are connections between these materials. You proposed a large square court in front of the art museum, and this space was extended to the sea. By having a pole erected there, I hoped to bring out the atmospheric qualities of the space, a kind of waveform or wavelength.

     

    이우환 : 처음에는 콘크리트 기둥이 없었어요. 내 마음 속으로는 동굴이나 피난처, 간단히 말해서 은신처와 같은 구조물을 원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처음에는 작업이 숨겨집니다. 그런 다음 당신이 계획을 그렸습니다. 콘크리트 부분이 서서히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어느 순간에 나는 "이것을 이렇게 되어야 한다."라고 깨달았습니다. 정면에서 바라 보면 50m 길이의 직선으로 수평으로 내달리는 긴장감 있는 벽이 보입니다. 이것만으로는 공간을 움직이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갑자기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어떤 제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수평으로 뻗어 있고 양쪽으로 산을 연결하는 벽과는 대조적으로, 공중에 높이 뻗어 있는 얇은 수직 요소가 있습니다. 수직 기둥은 그 자체로도 괜찮았을텐데 너무 상징적일 것 같아서 가까운 지표면에 둥근 점 같은 돌과 평면 같은 철판을 놓았습니다. 철판을 자연석에서부터 추출되고 추상화되며, 콘크리트는 분말로 굳힌 돌로 만든 재료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 재료들 사이에 연결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술관 앞에 큰 광장을 제안했고,이 공간은 바다로 확장되었습니다. 거기에 기둥을 세워서 공간의 분위기, 일종의 파형 또는 파장을 끌어 내고 싶었습니다.

     

    어긋나게 배치된 돌과 접힌 철판, 그리고 그의 작품들

     

     

    Ando: I didn't plan on that work at first.

     

    Ando : 저는 처음에는 그 작업을 계획하지 않았어요.

     

    Lee: I didn't plan on it either.

     

    이우환 : 저도 계획하지 않았습니다.

     

    Ando: This lack of prearranged harmony is a good thing. There are many artists who stay in their studios and perfect their work as much as possible, but art is something that essentially stays in motion. When I thought of how to make a building in that place where a person by the building can see the ocean beyond the sandy beach - I thought that I could create a place where the existence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would make itself felt on the visitor. I felt that my challenge was to create a mechanism through which the viewer could be made to sense the depth of the artist's heart. One solution was a long wall extending horizontally and that pole standing vertically.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create tension in the approach with the building alone and without the pole.

     

    안도 : 사전에 조화를 이루지 못한 것은 좋은 일입니다. 스튜디오에 머무르며 가능한 한 자신의 작업을 완성하는 많은 예술가들이 있지만 예술은 본질적으로 움직임에 있는 것입니다. 건물 옆에 있는 사람이 모래 사장 너머 바다를 볼 수있는 곳에 건물을 만드는 방법을 생각했을 때, 지구와 우주의 존재를 느낄 수있는 장소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방문객이 작가의 마음의 깊이감을 감지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만드는 것이 도전이라고 느꼈습니다. 한 가지 해결책은 수평으로 확장된 긴 벽과 수직으로 서 있는 기둥이었습니다. 건물만 있고 기둥이 없는 접근으로는 긴장감을 조성하는 것이 어려웠을 것입니다.

     

    Lee: I did not understand this at first either. At first, I was not thinking much about the outside. I was concentrating on a hidden space, but you added a large outside part to the small building. I believe you showed great skill in separating and joining a large exterior and a small interior. Because of this, I noticed something that I had failed to notice before. The outside is opened up in an exhilarating way and connected to the sea in the distance. The place is not actually very large, but one has an experience of a very open space. The approach draws people toward the inside and causes them to keep walking without seeing or thinking about anything. This is very typical of your work. There is not an immediate jump over the barrier between inside and outside. A connec-tion to the inside is made while changing the atmosphere very slowly. I believe this has the effect of successfull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work in terms of development of space.

     

    이우환 : 나도 처음에는 이해하지 못했어요. 처음에 저는 외부에 대해 많이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숨겨진 공간에 집중했지만, 당신은 작은 건물에 큰 외부 부분을 추가했습니다. 당신은 큰 외부와 작은 내부를 분리하고 결합하는데 훌륭한 기술을 보였다고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 이전에는 알아 차리지 못했던 것을 발견했습니다. 바깥 쪽은 짜릿한 방식으로 열리고 멀리 바다와 연결됩니다. 그 장소는 실제로는 그리 크지 않지만 매우 열린 공간이라는 경험을 줍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사람들을 내부로 이끌고 아무것도 보거나 생각하지 않고 계속 걸어가도록 합니다. 이것은 당신의 매우 전형적인 방식입니다. 내부와 외부 사이의 장벽을 즉시 뛰어 넘지 않습니다. 매우 천천히 분위기를 바꾸면서 내부로 연결됩니다. 이것은 공간 개발 측면에서 작업의 밀도를 성공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다와 대지를 향한 배치들

     

    Ando: When I thought about the architecture, I wanted to create a building that would draw people into the depths of the space in order to explore your world of "mu" (nothingness). After people spend two or three hours here holding a dialogue with your work and then leave the building, they feel the limitless expanse of the world beyond the pole. They experience a nonordinary kind of time that is only possible in a place like Naoshima. I think that evening is better than morning here. As the sun is sinking, I want people to experience the gradual darkening of the concrete wall and the fading of the color in the sky beyond it. I don't think there are many art museums in the world where you can perceive this kind of infinite world together with nature.

     

    안도 : 건축에 대해 생각할 때 "무"라는 세상을 탐험하기 위해 사람들을 공간의 깊숙한 곳으로 끌어들이는 건물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사람들이 여기서 당신의 작업들과 대화를 나누며 두세 시간을 보낸 후 건물을 떠나면, 그너머 세계의 무한한 확장을 느낍니다. 그들은 나오시마와 같은 곳에서만 비정상적인 시간을 경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저는 여기의 저녁이 아침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태양이 가라 앉을 때 콘크리트 벽이 점차 어두워지고 그 너머 하늘에서 색이 바래는 것을 사람들이 경험하기를 바랍니다. 이런 무한한 세계를 자연과 함께 지각할 수있는 미술관은 세계에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해가 질 때 한번 꼭 가보고 싶다. 

     

     

    Lee: I think you are right. You just mentioned infinity, and I appreciate the fact that you see it this way. The infinity that I am thinking about is very easy to understand. Unlike the infin-ity spoken of in physics or philosophy, i am thinking of infinity that emerge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You enter the interior of a building from a large outside space and then go out again after a short time. I think that there is qu e a different feeling associated with entering the buil ing and that of coming out of it. A sense of infinity emerges when you have a different feeling while seeing the same thing. I limit the act of making as much as possible. I strip away un-necessary things because I want to have people feel something bigger. This might be expressed differently as the ultimate or infinity. It would be best to eliminate myself entirely, but this is impossible, so I just limit myself as much as possible. I make use of these limitations in order to produce something bigger. It is not just simple asceticism. The ideal is to give the view-er an unusual experience by passing through this place. Your building works effectively in aiding this process. It brings the ideal and reality together.

     

    이우환 : 당신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당신은 무한를 언급했고, 당신이 이것을 이런 식으로 본다는 사실에 감사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무한이라는 개념은 이해하기 매우 쉽습니다. 물리학이나 철학에서 말하는 무한대와는 달리 내부와 외부의 관계에서 나오는 무한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넓은 외부 공간에서 건물 내부로 들어갔다가 잠시 후 다시 나갑니다. 건물에 들어가는 것과 건물에서 나오는 것과는 다른 느낌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것을 보면서 다른 느낌을 가질 때 무한한 느낌이 듭니다.

    나는 만드는 행위를 최대한 제한합니다. 사람들이 더 큰 것을 느끼게 하고 싶기 때문에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합니다. 이것은 궁극 또는 무한대로 다르게 표현 될 수 있습니다. 제 자신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이것은 불가능하므로 가능한 한 많이 제한합니다. 나는 더 큰 것을 생산하기 위해 이러한 한계를 사용합니다. 단순한 금욕주의가 아닙니다. 이상(ideal)은 관람자에게 이 장소를 통과하면서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건물은 이 경험 과정이 효과적일 수 있도록 돕습니다. 그것은 이상과 현실을 함께 가져옵니다.

     

    Ando: This plan takes the form of a triangle with all acute angles. This kind of architecture is difficult to design and difficult to build. Ordinarily, the conception of a building is based on a rectangular form, which is easier to construct. I deliberately made it triangular because I wanted to take on the challenge of a difficult plan while holding a dialogue with the work of an artist working on a very high level. Of course, it was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 shape of the building site is close to a triangle. In the rock garden of Ryoanji temple, an attempt is made to express a world view within a framework of limited elements. It has continued to affect people's hearts until the present day. There is something incredible and profound about the things spoken by these stones over five centuries. I want this art mu-seum to have a similar effect.

     

    안도 : 이 계획은 모든 예각을 가진 삼각형의 형태를 취합니다. 이런 종류의 건축은 설계 및 구축이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개념은 직사각형 형태를 기반으로 하고 시공도 더 쉽습니다. 매우 높은 수준에서 작업하는 아티스트의 작업과 대화를 하면서 어려운 계획에 도전하고 싶었기 때문에 일부러 삼각형으로 만들었습니다.(왜 그래요 삼각형 많이 쓰시잖아요..) 물론 건물 부지의 모양이 삼각형에 가깝다는 점에서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료안지의 암석 정원에서는 한정된 요소의 틀 안에서 세계관을 표현하고자 합니다. 그것은 오늘날까지 사람들의 마음에 계속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돌들이 5세기에 걸쳐 말한 것들에는 놀랍고도 심오한 것이 있습니다. 이 미술관이 비슷한 효과를 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정사각형의 외부공간을 지나 마주하는 예각의 삼각형 공간

     

    Lee: Yes, I agree. There is a tremendous sense of expectation in your proposed plan. The open square form of the approach in front of the building is joined to a right triangle, half closed on the inside. It is partitioned in a semi-obstructive way in concrete. By sticking opposite things together, a sense of tension is created. The area i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the sea spreads out beyond the approach. I believe that people who pass through and arou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are able to experience uplifting feelings and other sensations. The overall setting is made up of two parts, the interior, which is like a womb or death, and the world of raw reality.

     

    이우환 : 네, 동의합니다. 당신이 제안한 계획에는 엄청난 기대감이 있습니다. 건물 앞의 열린 정사각형 형태의 접근 방식은 직각 삼각형으로 연결되고 내부는 절반이 닫힙니다. 콘크리트에서 반-폐색 방식으로 분할됩니다. 서로 반대되는 것을 붙임으로써 긴장감이 생깁니다. 이 지역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접근을 넘어 바다가 펼쳐집니다. 건물 안팎을 지나가는 사람들은 고양감과 함께 다른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전체적인 설정은 자궁이나 죽음과 같은 내부공간과 날 것 그 자체의 현실 세계,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Ando: If this were a more stable form, like a right triangle, this sense of tension would not have emerged.

     

    안도 : 만약 이것이 직각 삼각형처럼 더 안정된 형태 였다면 이러한 긴장감이 나오지 않았을 것입니다.

     

    Lee: That's right. There is a square form over here and a triangle over there. And there is an unseen square form here. There is an invisible development that moves along from the building to the ocean.

     

    이우환 : 맞습니다. 여기에는 정사각형 모양이 있고 저쪽에는 삼각형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는 보이지 않는 사각형 형태가 있습니다. 건물에서 바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변화가 있습니다.

     

    Ando: Also, this building may seem to be built simply, with what appear at first glance to be simple structures and details. It was difficult because I was working with a limited number of elements. The raw concrete wall is constructed beautiful-ly and smoothly. It is a product of the technical expertise of construction technicians developed by long training and experience. This is also true of the plastered space of the interior. This building is constructed with the best possible construc-tion techniques available today. It would be difficult to make something as good in the future unless there are people with the same kind of expertise or ideas or someone like Mr. Fukutake who would be able to have something like this done. This art museum makes it possible to have a physical sensation of a kind of microcosm, the artistic world of Lee Ufan. While you were developing your ideas, I am sure you were aware of Naoshima as a place. What was your attitude in approaching this project?

     

    안도 : 또한 이 건물은 언뜻 보기에 단순한 구조와 세부 사항으로 보이는 단순하게 지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제한된 수의 요소로 작업했기 때문에 어려웠습니다. 원시적인 콘크리트 벽은 아름답고 매끄럽게 구성됩니다. 오랜 교육과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시공 기술자의 기술력의 산물입니다. 실내의 회반죽 공간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건물은 현재 이용 가능한 최고의 건축 기술로 지어졌습니다. 같은 종류의 전문 지식이나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나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후쿠타케 씨와 같은 사람이 없다면 장래에 좋은 것을 만드는 것은 어려울 것입니다. 이 미술관은 이우환의 예술 세계인 일종의 소우주 같은 육체적 감각을 가능하게 합니다.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동안 나오시마를 어느 장소로 알고 계셨을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에 접근하면서 어떤 태도를 취했습니까?

     

    Lee: Naoshima is not a grand or magnificent place. It feels quite ordinary and familiar. The mysterious thing about this island, however, is that although nature feels close and familiar, it is not vulgar or banal. I got the impression that it is somehow cut off a little, and that it seems to have a slightly different fragrance or freshness. In any case, the topography of the island is human-scale and has a unique and untainted atmosphere. I hope that through my work and your work, we might bring out a sence of place whereby people can physically experience depth and distance, something incredible on a different dimension, something cosmic. It is interesting that this is done in a very small, nearby place, not a huge mountain or a broad plain.

     

    이우환 : 나오시마는 웅장하거나 웅장한 곳이 아닙니다. 아주 평범하고 친숙한 느낌입니다. 그러나 이 섬의 신비한 점은 자연이 가깝고 친근하게 느껴지지만, 저속하거나 진부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저에게는 조금 잘려서 향이나 신선도가 조금씩 다른 느낌을 줍니다. 어쨌든 섬의 지형은 휴먼 스케일이며 독특하고 오염되지 않은 분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 작업과 당신의 작업을 통해 사람들이 깊이와 거리를 물리적으로 경험할 수있는 공간, 다른 차원에서 놀라운 무언가 우주적인 것을 경험할 수 있는 장소의 느낌을 이끌어 내길 바랍니다. 이것이 거대한 산이나 넓은 평야가 아닌 아주 작고 가까운 곳에서 행해지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Ando: Yes. What I like about this place is that it is right in the middle between Benesse House and the Chichu Art Museum.

     

    Ando : 네. 이 장소가 마음에 드는 점은 베네세 하우스와 치추 미술관의 중간에 있다는 것입니다.

     

    Lee: It would be nice if this were a place where people finally arrive after making a series of choices.

     

    이우환 : 일련의 선택을 거쳐 마침내 사람들이 도착하는 곳이라면 좋을 것 같아요.

     

    Ando: In the present situation, I believe that art, in a sense, has become too generalized. There is a tendency to praise this condition, using the word diversity. I think, however, that contemporary art should be left in a condition that makes it non-ordinary or hard to approach. I think it should always have high aspirations and an avant-garde approach.

     

    안도 : 현재의 상황에서는 어떤 의미에서 예술이 너무 일반화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다양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이 상태를 칭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미술은 평범하지 않거나 접근하기 어려운 상태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높은 포부와 전위적인 접근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Lee: There are places like the Altamira cave that are mysterious spaces for people doing art. They are still marvelous after thousands of years. There are spaces that surprise people and make them think or give serious consideration to darkness or death. I have no religious faith and there is no shrine, temple, or church here, but I wanted this museum to be a place of profound dialogue with something reflective, something basic, something cosmic. I eliminate my self as much as possible and try to do everything I can using contemporary thoughts, materials, and technology. I believe that showing this kind of cross-section of the present means confronting the contempo-rary age and also becomes a way of showing something that transcends the present and leads toward infinity.

     

    이우환 : 알타미라 동굴 같은 곳은 예술을 하는 사람들에게 신비로운 공간입니다. 그들은 수천 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놀랍습니다. 사람들을 놀라게하고 어둠이나 죽음을 생각하거나 진지하게 생각하게 만드는 공간이 있습니다. 저는 종교적 신앙이 없고 여기에는 신사, 사원, 교회가 없습니다.하지만 이 박물관이 반사적이고 기본적이고 우주적인 것과 깊은 대화의 장소가 되기를 원했습니다. 나는 가능한 한 내 자아를 제거하고 현대적 사고, 재료 및 기술을 사용하여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이런 현재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은 동시대를 맞이하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를 초월하여 무한으로 이끄는 무언가를 보여주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Ando: In comparison to the Chichu Art Museum, the scale of this building is very small. This size was good for a person like you who works in an ultimate way. Because of this very small-ness, it reveals a larger worl This is a definite aspect of it. I look forward to seeing how something very profound can be expressed in this small space.

     

    안도 : 치츄 미술관에 비해이 건물의 규모는 매우 작습니다. 이 크기는 궁극적으로 일하는 당신과 같은 사람에게 좋았습니다. 이 매우 작기 때문에 더 큰 소용돌이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그것의 확실한 측면입니다. 이 작은 공간에서 얼마나 심오한 것을 표현할 수 있는지 기대됩니다.

     

    Lee: Yes, that's right. I think that this is a good conclusion. While eliminating things that are unnecessary, making it smaller and smaller, I think about how to make people sense a larger world and attempt to make this possible. There could be no higher pleasure than bringing out these aspects of ex-perience.

     

    이우환 : 네, 맞습니다. 좋은 결론이라고 생각합니다. 불필요한 것은 없애고, 작게 만들고, 어떻게하면 더 큰 세상을 느끼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이를 가능하게하려고합니다. 경험의 이러한 측면을 이끌어내는 것보다 더 큰 즐거움은 없습니다.

     

    Ando: Your work, which emerges from this process, has a great sense of tension. If there is no strong sense of realism and pres-ence in the process, there will be no sense of realism in the physical objects. The present is a time when prevailing values are opposed to process! I think that our society is quite com-mercialistic in many ways. I think that Naoshima must be a place that is not swallowed up by commercialism.

     

    안도 : 이 과정에서 나오는 당신의 작업은 긴장감이 큽니다. 그 과정에서 강한 현실감과 존재감이 없다면 물리적 인 물체에 현실감이 없을 것입니다. 현재는 지배적인 가치가 과정에 반대되는 때입니다! 저는 우리 사회가 여러면에서 상당히 상업주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오시마는 틀림없이 상업주의에 삼켜지지 않는 곳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Lee: Someone has said that a Japanese garden is a complete abstraction of nature rather than a copy of nature or a human concept. I see this a little differently. If we think about gardens in relation to artworks, they can be a site of dialogue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I think the garden is a space-time in which both sides limit each other and make concessions to each other. It is a site of conflict and contradiction in which they both win battles, make compromises, and continue to struggle. The same thing can be said of artworks. I do not create my own expressive images and I do not simply accept things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by an outside party. I think that artworks are ambiguous sites brought about by something like a conflict between the artist and outside things. This art museum would be meaningless if it did not function as a site of interaction between the maker and the visitors who observe it on the inside and outside.

     

    이우환 : 일본 정원은 자연의 모방이나 인간의 개념이 아니라 자연의 완전한 추상화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저는 이것을 조금 다르게 봅니다. 우리가 작품과 관련하여 정원을 생각해 보면, 인간과 자연의 대화의 장이 될 수 있습니다. 나는 정원이 양측(인간과 자연)이 서로를 제한하고 양보하는 시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둘 모두 전투에서 이기고, 타협하고, 계속 투쟁하는 갈등과 모순의 장소인 것입니다. 작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는 내 자신의 표현적인 이미지를 만들지 않고 이미 외부인이 만든 것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예술 작품은 작가와 외부의 것과 갈등이 있는 것 같은 모호한 장소라고 생각합니다. 이 미술관은 제작자와 방문자가 내부와 외부 사이의 교류의 장으로 기능하지 않는다면 그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March 4, 2010 At Office of Tadao Ando Architect & Associates

     

     


     

    728x90
    반응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근 Kim Swoo Keun, 1984년 작품집의 인터뷰  (0) 2021.03.22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