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근 Kim Swoo Keun, 1984년 작품집의 인터뷰

반응형
250x250
    728x90
    반응형

     

    김수근 관련 자료들 (김수근문화재단)

     

    건축가 김수근.

    건축을 공부한다면 너무나 친숙한 이름인 동시에, 아직 제대로 공부하지 못했던 인물 중 하나이다. 

     

    그는 한국의 독재, 그리고 개발국가 시기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건축가이고 비교적 많은 자료와 연구가 남아 있지만 일본과의 관계 속에서도 깊게 탐색해 보아야 할 인물이라고 느낀다. 1965년 그의 건축(부여 박물관)에서 나타났던 왜색 논란은 당시에도 이미 유명했으나 그것이 단순히 조형적인 특성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가 도일하여 공부했던 맥락 속에서 한번 더 들여다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그가 이를 탈피하기 위해 어떻게 한국성, 더 나아가 인간성(womb로 대표되는)을 공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노력했는지 그 지점을 돌아보는 것은 지금에도 나름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편 김수근 관련 작품집은 의외로 구하기가 쉽지 않다 ㅠㅠ 절판된 책들이 대부분.. 

    물론 도서관에 가면 있지만, 뭐랄까, 제대로 정리하여 현재까지 출판되는 책은 별로 없는 상황이다.

    가장 최근에 김수근문화재단에서  90페이지의 작은 묶음을 만든 것 같은데, 판매하지는 않는 듯하다.  

    그럴싸한 에디션을 만들면 비싸도 살 의향 있는데. 

     

     

    1984년 일본에서 출판된 김수근 작품집. 그가 죽기 2년 전에 출판되었다. 

     

    여튼 김수근 관련한 작품집들을 찾는 도중 위의 책이 가장 궁금했는데, 운이 좋게도 부장님께 빌려볼 수 있었다. 

     

    일본에서 출판된 책이고 현재는 구하기가 쉽지 않다. 그의 작품을 전담했던 사진 작가 오사무 무라이의 사진들을 인쇄본으로 볼 수 있고, 스승 요시무라 준조의 코멘트도 있다. 요시무라 준조는 유명하기도 하지만 마쓰이에 마사시의 소설,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에서 모티브로 삼았던 건축가이기도 하다. 

     

    이 책의 초반에 실린 코멘터리를 옮겨 보았다. 

     


    Heart of Architecture by Junzo Yoshimura

     

    My first encounter with Mr. Kim was when he was enrolled in the Faculty of Architecture of Tokyo Art College where I was teaching. He came to Japan upon graduation from Seoul University where he had completed his studies overcoming great difficulties. He then went to do post-graduate studies studies at Tokyo University. Upon completion of his studies there, he went back to his country where he gradually won fame through participation in design competitions and so on. He is a person of magentic charm and a charismatic organizer, succeeded in establishing a giant design office.

     

    김선생과 처음 마주친 것은 그가 내가 가르치고 있는 도쿄 예술대학 건축학과에 입학했을 때였다. 그는 큰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서울대학교에서 학업을 마쳤고 졸업하자마자 일본으로 건너왔다. 그 후 그는 도쿄 예술 대학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았다. 그곳에서 학업을 마친 후, 그는 조국으로 돌아가 꼼페 등을 통해 점차 명성을 얻었다. 그는 매력적인 사람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기획자이며, 거대한 디자인 사무소의 설립에 성공했다.

     

    One day he came to see me at my office. In the course of the pleasant chat, I casually said something to the effect that I do not form a big team because the sheer size of it, the organization, begins to control me and I can no longer work intimately and as I would really like to. When he went back to ROK, he closed down the big organization he had put up using hundreds of people and replaced it with a cozy little office where he can engage in genuinely architectural activity. He is such a type.

     

    하루는 그가 내 사무실로 찾아왔다. 즐거운 수다를 나누는 동안, 나는 무심코 난 큰 규모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말을 했는데, 왜냐하면 그것의 순수하게 크기만 한 조직은 나를 통제했고, 그리하여 나는 더 이상 친밀하게 그리고 내가 정말 원하는 대로 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가 한국으로 돌아갔을 때, 수백 명의 큰 조직을 없애고 진정한 건축 활동을 할 수 있는 아늑한 작은 사무실로 교체했다. 그는 그런 타입이다.

     

    An architect must be armed with the ability to overcome any problem that may arise and find a realistic solution to it. In Mr. Kim, I recognize tremendous vitality, that sort of vim which is hard to find in Japanese architects. I think this is something that stems from his upbringing and the particular cultural background he represents. Unlike Japan, which is an insular country, Korea always existed under the threat of possible invasion from neighboring countries, as has Poland, and also has bitter memories of having been colonized over a long period bf time. Certainly, Mr. Kim's all-embracing personality is at least in part due to such a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to his respectable family background with authentic traditional discipline.

     

    건축가는 (장래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극복하고, 그것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김선생에게서 나는 일본 건축가들로부터는 찾아보기 힘든 엄청난 생명력, 그런 종류의 활력이 있다고 느낀다. 나는 이것이 그의 성장과 관련한 특정한 문화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일본과 달리 폴란드와 마찬가지로 주변국의 침략 가능성의 위협이 항상 존재했고, 오랜 기간 동안 식민지배를 받았던 쓰라린 기억도 있다. 확실히, 김선생의 모든 것을 포용하는 성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러한 문화적 배경과 진정한 전통적인 규율을 가진 존경할 만한 집안 배경 때문이다.

     

    He went back to ROK when Japan's modern architecture was in full blossom. At first, he appeared to be building structures strongly suggestive of Le Corbusier's influence, but later he turned to modern architecture with a Bauhaus flavor. Today, it appears, he is immersed in a world of design unique to himself and which spontaneously originates in his feeling. He is blessed with the capacity to positively appreciate, absorb and assimilate good ideas. As a general tendency, as we have seen in his Korean Pavilions at Expo '67 and Expo '70, he is making efforts towards enhancing the local color of his cultural background while integrating it in the context of modern methodology.

     

    그는 일본의 근대 건축이 한창 꽃을 피울 때 한국으로 돌아갔다. 처음에는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강하게 암시하는 건축물을 짓는 것처럼 보였지만, 나중에는 바우하우스 풍의 현대 건축으로 눈을 돌렸다. 오늘날, 그는 자기만의 독특한 디자인의 세계에 빠져있고, 그것은 그의 감정에서 자연스럽게 비롯된다. 그는 좋은 사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흡수하고, 동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경향으로서, 엑스포 '67'과 엑스포 '70'의 한국관에서 보았듯이, 그는 자신의 문화적 배경을 현대 방법론의 맥락에서 통합하면서 지역적 색채를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My friendship with Mr. Kim has provided me with three opportunities to visit his country after the war. His office in the Space Group of Korea Building is a very enchanting place. Today there is a strong current of thought which has it that form is architecture in itself, and it seems to me that there is little room for "human heart" in it. Essentially, it is the same thing as the "heart of Archtecture." Mr. Kim's office is not a conventional architect's office, but it seems to embrace a broader spectrum of the life of those who work there.

     

    김선생과의 우정 덕분에 난 종전 후 한국을 방문할 세 번의 기회가 있었다. 한국빌딩의 스페이스 그룹에 있는 그의 사무실은 매우 매혹적인 장소이다. 오늘날에는 형태가 건축 그 자체라는 강한 사상의 흐름이 있는데, 내가 보기엔 그 안에 '인간의 마음'이 들어갈 여지가 거의 없는 것 같다. 본질적으로 '건축의 심장'과 같은 것인데, 김선생의 사무실은 기존의 건축가 사무실은 아니지만,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삶의 더 넓은 스펙트럼을 수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Many years ago I had an opportunity to travel through the countryside of Korea with Mr. Kim and visit not very well-known temples and villages. We hit upon a beautiful village of houses made of straw and dirt only. (I have been told recently that brick tiles are replacing those beautiful roofs.) Mr. Kim and I spent some time contemplating the unaffected beauty of these houses. I remember he said at that time that since, after all, architecture belongs to the soil in the final analysis, he would like to develop his future involvement with architecture in the Korean context.

     

    수년 전, 나는 김선생과 함께 한국의 시골 지역을 여행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사찰과 마을을 방문할 기회를 가졌다. 우리는 짚과 흙으로 만든 아름다운 집들의 마을을 우연히 만났다. (최근에는 벽돌 기와가 그 아름다운 지붕들을 대체하고 있다고 들었다.) 김선생과 나는 이 집들의 미치지 않는 아름다움(unaffected beauty)에 대해 생각하는데 시간을 보냈다. 그 당시 그는 결국 건축은 토양의 것이기 때문에 건축을 통해 한국적인 맥락에서 미래에 영향 미치고 싶다고 말한 것으로 기억한다.

     

    Korean culture invites us into a world of intriguing uniqueness. I am particularly attracted to the sense of sharpness one discerns, for example, in Korean music accentuated by the that crisp drum, channggu. The Yi-Dynasty has left an enticing humanistic culture which occupies a very important place in the cultural history of mankind. For us architects, the porcelain of that dynasty is of profound interest, as is the woodcraft. Mr. Kim once said he wanted to study the beauty of the Yi-Dynasty legacy and reflect what he has learned from it in his works. A little later the Space magazine of which he is the editor carried special articles on woodcraft, and this shows that he appreciates the weight of tradition.

     

    한국 문화는 우리로 하여금 흥미로운 독특함의 세계로 초대한다. 나는 특히 그 크리스피한 북인 장구에 의해 강조되는 한국 음악에서, 날카로움의 감각에 이끌린다. 이조 시대는 인류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매력적인 인문학적 문화를 남겼다. 우리 건축가들에게 있어서, 이조 시대의 자기는 목공예와 마찬가지로 매우 흥미롭다. 김선생은 이조 시대 유산의 아름다움을 연구하고, 이 유산을 통해 배운 것을 작품에 반영하고 싶다고 말한 적이 있다. 얼마 후에 그가 편집자로 있는 <스페이스(공간)> 잡지는 목공예에 관한 특별 기사를 실었고, 이것은 그가 전통의 무게를 인정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Space magazine is dedicated to architecture and art. He is also enthusiastically committed to other forms of artistic activity either as director or as financial supporter of the Space Theater, the Craft Corner and the Gallery. In his vitality I discern an integrating power reminiscent of the Renaissance vitality, and it is my wish to see his dedication blossom in deserved and rewarding way. It must be very difficult for him to continue his artistic activities amidst the complicated situation his country is placed now. But he is international in his approach to the beauty of Korea and the charm of its traditions, which he wants to revitalize in his works. It is my belief that an architect should not content himself with being an artist;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he must learn to be an organizer of life. I wish Mr. Kim good luck along the way in his endeavors to be such an organizer of life.

     

    스페이스(공간) 잡지는 건축과 예술에 전념한다. 그는 또한 감독으로서 또는 우주 극장, 공예 코너, 화랑의 재정적인 후원자로서 다른 형태의 예술 활동에 열성적으로 헌신하고 있다. 그의 생명력 속에서 나는 르네상스 시대의 생명력을 연상시키는 통합력을 발견하며, 그의 헌신이 마땅하고 보람 있는 방식으로 꽃을 피우는 것을 보는 것이 나의 소망이다. 나라가 처해 있는 복잡한 상황 속에서 그가 예술 활동을 계속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러나 그는 한국의 아름다움과 전통에 대한 매력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국제적인데, 그는 그의 작품에서 다시 활기를 되찾고 싶어한다. 건축가는 예술가가 되는 것에 만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진정한 의미에서 그는 삶의 주체(organizer)가 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김선생의 그런 삶의 주체가 되기 위한 노력에 행운이 따르기를 바란다.

     

    (Interview transcript summarized by the Editor)

     


     

    그리고 이어지는 글은 건축가 후미타카 니시자와와의 작은 대화록이다. 

     

     

    Dialogue : Kore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extract), by Fumitaka Nishizawa + Kim, Swoo Geun

     

    NISHIZAWA: There just are too many things today, and choice is extremely dificult. For example, I'm building a house for myself right now. Paradoxical as it may sound, there is nothing I can use ! Of course, things would be different if I were working at the request of a client, but when you have to deal with yourself for decision-making, it's very, very difficult. You feel that whatever you use, you are going to end up building something an orthodox you can't very weII be proud of. So you become very choosy for materials, and in the end you find that you have nothing you can use !

     

    니시자와 : 오늘날에는 너무 많은 것들이 있고 (그래서) 선택이 매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지금 나 자신을 위해 집을 짓고 있습니다. 역설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사용할 수있는 것은 없어요! 물론 내가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일을한다면 상황이 달라 지겠지만,  스스로 의사 결정을 해야 할 때는 매우, 매우 어렵습니다. 당신은 당신이 무엇을 사용하든 간에 스스로 자랑스러울 수없는 정통적인 것을 만들게 될 것이라고 느낍니다. 그래서 재료에 대해 굉장히 까다로워지고 결국은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KIM: I've been noticing a striking resemblance between the American Shaker's approach to interior design and the moonbang of the Yi-Dynaty. Behind it I discern the presence of a philosophical outlook reminiscent of wood craft logic.

     

    김 : 저는 미국의 쉐이커의 인테리어 디자인 접근법과 이조의 문방 사이에서 두드러진 유사점을 발견하고는 합니다. 그 이면에는 목공예 논리를 연상시키는 철학적 관점의 존재를 인식하게 됩니다.

     

    N: Yes, it is a somthing, pure world....

     

    니시자와 : 맞습니다. 그것은 뭔가, 순수한 세계이죠....

     

    K: It saddens me to tears that this priceless tradition is not allowed to assert itself....

     

    김 : 이 귀중한 전통이 스스로를 주장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슬프게 느껴집니다 ....

     

    N: If anyone, I think it is the consumer who is ultimately responsible. I mean, things are made today for the meridian of consumer taste. In other words, the consumer constitutes an excuse for the maker. "Oh, if we make anything that pure, it wouldn't sell," people would say ; how dishearting!

     

    니시자와 : 누구라도 궁극적으로 책임지는 것은 소비자라고 생각합니다. 내 말은, 오늘날 만들어진 것들은 소비자 취향의 자오선(평균을 뜻하는듯)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즉, 소비자는 제작자가 하는 변명을 구성합니다.(소비자의 취향을 핑계삼아 제작한다는 것) "오, 우리가 순수한 것을 만들면 팔리지 않을 것" 이라고 사람들은 말할 것입니다. 얼마나 실망스럽습니까!

     

    K: Maker and consumer are interlocked in a feedback system for making things worse and worse.

     

    김 : 제작자와 소비자는 이러한 피드백 시스템과 결착되어 상황을 점점 악화에 악화를 거듭하고 있어요. 

     

    N: Yes, that's how things look, isn't it? There's little hope until some courageous people come out to the fore, saying, "I'm going to make it so, even if it doesn't sell."

     

    니시자와: 맞습니다. 지금 딱 그렇게 보이지 않습니까? 일부 용기 있는 사람들이 "안 팔려도 그렇게 만들겠다"며 전면에 나서기 전까지는 희망이 거의 없습니다. 

     

    K: There were tremendous numbers of wood craft pieces made in the Yi-Dynasty, but no two of them were made alike. This was one salient characteristic. They look alike, but they are all of different design. This means that people who use them made them in their own way, to their own liking.

     

    김 : 이조 시대에 만들어진 목공예품은 엄청나게 많았지만 똑같이 만든 것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이것은 한가지 두드러진 특징이었습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모두 다른 디자인입니다. 이것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방식으로, 자신의 취향에 따라 그것들을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N: There was a high-level cultural life. It's intersting to note that the Yi-dynasty was under China's pressure all along, but that people had enough sense not to succumb. Of all the Korean Dynastic cultures, such as the Yi-Dynasty, Shilla and Baekje, the Japanese by far like Beakje the best.

     

    니시자와 : 높은 수준의 문화 생활이 있었군요. 이조 시대가 계속해서 중국의 압력을 받고 있었지만 사람들이 굴복하지 않을 충분한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흥미롭습니다. 이조, 신라, 백제와 같은 한국 왕조 문화 중에서도 일본인은 백제를 가장 좋아합니다.

     

    K: Oh?

     

    김 : 호오?

     

    N: Yes. the Baekje culture is felt very close to the heart of the Japanese. So much so that, as the writer Kim Dal Soo says, we get the illusion that it may indeed be that Baekje and Shilla Koreans came to create Japanese culture in this country.....Incidentally, of the things I visited and saw in Korea, I was most deeply impressed with stone sculpture. Take those Yi-Dynasty stone monsters which decorate staircases for example; I think they are far more beautiful than some buildings. Those stone carvings are so humorous and soft in impression.

     

    니시자와 : 네. 백제 문화는 일본인들의 마음에 매우 가깝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김달수 작가님 말씀처럼 백제와 신라 사람들이 이 나라에서 일본 문화를 창조하러 온 것이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기도 합니다...우연히도 한국에 와서 본 것 중 돌조각에 가장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계단을 장식하는 이조의 석조물을 예로 들어봅시다. 나는 그것들이 어떤 건물들보다 훨씬 더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그 돌조각들은 매우 유머러스하고 인상이 부드럽습니다.

     

    K: None of the Buddhist temples in southern Korea is an original wooden structure.

     

    김 : 한국 남부에 있는 절은 어느 것도 원래의 목조가 남아있지는 않습니다.

     

    N: But the stone carvings are.

     

    니시자와 : 하지만 석조는 남아있죠. 

     

    K: The wooden structures were thoroughly burnt down once, and then were rebuilt. The first case of temple-burning was perpetrated by the Japanese. Toyotomi Hideyoshi came to Korea to burn down everything. Why did temples have to be burnt down? Because temples represented the seats of authority and enjoyed profound respect from the population. To burn down such places of authority was the best way of demonstrating the power of the invaders. So virtually all Buddhist temples were destroyed. Unfortunately, wooden structures, once burnt down, leave no trace of the original.

     

    김 : 목조건물은 한 번 완전히 불에 타서 다시 지어졌어요. 첫 번째 사찰 방화 사건은 일본인에 의해 자행되었습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모든 것을 불태우기 위해 한국에 왔어요. 왜 절이 불타야 했을까요? 그 이유는 사찰이 권위의 자리를 상징하고 사람들로부터 깊은 존경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런 권위 있는 장소를 불태우는 것이 침략자들의 힘을 입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어요. 그래서 사실상 모든 사찰이 파괴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일단 타버린 목조건물은 원본의 흔적을 남기지 않습니다.

     

     

    N: It is said that when Hideyoshi went to conquer Korea, he became petrified standing before the Bulguksa Temple, so splendid and all-inspiring was the edifice. But he soon found out that there were weapons hidden inside, and he couldn't control his anger....

     

    니시자와 : 히데요시가 한국을 정복하러 갔을 때, 그는 불국사 앞에 서서 겁에 질렸는데 너무 화려하고 모든 영감을 주는 것이었다고 해요. 하지만 그는 곧 안에 무기들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분노를 억누르지 못했죠....

     

    K: Most temples have records attesting to the fires in which their originals were burnt down in the Battle of lmjin. Stone does not burn, nor can it be carried arourid easily because it is heavy.

     

    김 : 대부분의 사찰에는 임진왜란 때 화재로 타버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돌은 타지 않고 무겁기 때문에 쉽게 운반될 수 없었습니다.

     

    N: If Baekje architecture existed today, it would be breath-taking.

     

    니시자와 : 백제 건축이 오늘날 존재했다면 숨이 멎을 것입니다. (갑자기 뜬금포 화재전환;; 중간에 담화가 생략된듯)

     

    K: If you go to Buyeo, you'll find heaps of bricks from the Baekje days everywhere, but no wooden structure dating from those days. There is no record, either. There is a vestige of what we seek in the embossed carving of Jeon, but it is of little help. Excavations may briog interesting things to light, though.

     

    김: 만약 부여에 가시면 백제시대의 벽돌 더미를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 당시의 목조건물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기록도 없습니다. 전각?(carving of Jeon)에는 우리가 찾는 흔적이 남아 있지만 별 도움이 되지는 않아요. 그러나 발굴을 통해 흥미로운 것들을 밝혀낼 수 있긴 하죠.

     

    N: The Honryu-Ji Temple was erected when the Baekje culture was in full blossom on the Korean peninsular. Can't we find something Baekje in the Honryu-Ji? If the Bulguksa is to be recreated, you can take a good look at the Honryu-Ji and refashion the idea back to Korean taste.

     

    니시자와 : 백제 문화가 한반도에 꽃피웠을 때 혼류지가 세워졌습니다. 혼류지에서 백제를 찾을 수는 없나요? 불국사를 재창조한다면 호류지를 잘보고 한국인의 취향으로 되살릴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K: Ah, yes, that may work.

     

    김 : 아 네. 그것도 가능하겠군요. 

     

    N: But in recreation work there is always room for the opinion and feeling of the recreator. No matter what accurate descriptions are available from ancient sources, there is plenty of room for free interpretation. The feeling of the recreator unfailingly finds expression.

     

    니시자와 : 하지만 재창조의 작업에는 항상 재현자의 의견과 느낌을 넣을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고대 출처에서 어떤 정확한 설명을 얻을 수 있더라도 자유로이 해석할 여지가 많습니다. 재현자의 감각은 틀림없이 어떤 표현에 도달할 거라고 봅니다.

     

    K: I had an interesting experience in connection with 'the Honryu-Ji. When I first came to Japan to study at the age of Twenty or so, I hurried to go to see the temple. I had no trained eye for temples, and curiously I found something very Korean in the wooden structure of the Horyu-Ji.

     

    김 : 전 혼류지와 관련해서 재미있는 경험을 했어요. 스무 살쯤 되어서 처음 일본에 유학 왔을 때, 나는 서둘러 절을 보러 갔습니다. 절을 보는 단련된 안목이 없었는데, 신기하게도 호류지의 목조건물 속에서 무언가 굉장히 한국적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N : I suppose you did .....

     

    니시자와 : 아 그렇다면 아마도...

     

    K: Four or five years ago, I had an opportunity to visit the temple again after a long, long interval. This time I found it very Japanese, although many Koreans tell me the Horyu-Ji is very Korean.

     

    김 : 그 후 4~5년 전 저는 길고 긴 시간 간격을 두고 다시 절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매우 일본적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물론 많은 한국인들이 호류지가 매우 한국적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만.  

     

    N: Oh, the temple was rebuilt in the meanwhile.

     

    니시자와 : 아, 그동안 절이 재건되었습니다.

     

    K: The interior space I found very Korean. For example, the scale of things,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wer and the corridor, etc. But the exterior was unmistakable Japanese.

     

    김 : 제가 찾은 실내 공간은 매우 한국적이었어요. 예를 들어, 사물의 규모나, 탑과 복도 사이의 관계 등입니다. 그러나 겉모습은 틀림없는 일본적이었습니다.

     

    N: I think the recreator infused his feelin into the newly rebuilt structure.

     

    니시자와 : 제 생각에 그 재현자가 새로 지어진 건물에 자신의 감각을 불어넣은 것 같아요.

     

    K: Whether via Korea or direct from China, everything was naturalized here to suite the local cultural climate.

     

    김 : 한국을 경유하든 중국에서 직접 오든 모든 것이 현지 문화 풍토에 맞게 적응하게 됩니다.

     

    N : I think so.

     

    니시자와 : 제 생각도 그래요. 

     

    K: A unique sort of cultural efflorescence took place.

     

    김 : 독특한 종류의 문화 유출이 일어났어요.

     

    N: Personally, I preffered the old Horyu-Ji. The new one is too neat. The old one was more casually posed. I think some of the strategic dimension were changed.

     

    니시자와 : 개인적으로, 저는 오래된 호류지를 선호했습니다. 새 것은 너무 깔끔해요. 옛날 것은 좀 더 무심코 포즈를 취했다고 할까요. 전략적 차원(비례) 중 일부가 바뀐 것 같습니다.

     

    K: You have been to the Soodeoksa Temple. Did you see the Daewoongjeon Pavilion?

     

    김 : 수덕사에 가 보셨더군요. 대웅전을 보셨습니까?

     

    N: Yes, I did.

     

    니시자와 : 네 봤습니다. 

     

    K: It's very similar to the Denpo-do Pavilion of the Horyu-Ji in elevation, didn't you think? But in reality both belong to completely different category.

     

    김 : 그것은 호류지의 덴포도 정자와 매우 비슷합니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어요? 그러나 실제로는 둘 다 완전히 다른 범주에 속한다는 게 흥미로운 사실입니다. 

     

    N: Yes. that's true.

     

    니시자와 : 네 맞습니다. 

     

    K: They look alike. but they are different in quality. The difference you find between these two, I think. pretty well symbolizes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rchitecture and Korean architecture. In the pictures, they appear to be of similar elevation. but a look at the real structures with naked eyes at once reveals that there is a definite difference in the spirit of wood use. In Japan, people have made very neat use of wood, where as in Korea people have used wood in an apparently casual manner. But in this apparently casual manner, there is a sense of sharpness prevailing, with a distinct feeling of order.....

     

    김 : 닮았어요. 하지만 질은 다릅니다. 니시자와씨가 발견한 이 둘 사이의 차이가 일본 건축과 한국 건축의 차이를 잘 상징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림에서 그것들은 비슷한 높이로 보입니다. 그러나 실제 구조물을 맨눈으로 한 번에 보면 목재를 다루는 정신에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어요. 일본 사람들은 나무를 매우 깔끔하게 사용했지만, 한국 사람들은 나무를 명백히 편안하게 (자유롭게) 사용했습니다. 그럼에도 명백히 이 나무를 편안하게(자유롭게) 다루는 방법에 뚜렷한 질서의 감각과 함께 예리함이 숨어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계속 연관지어 생각해보는 과정들. 어쩌면 지금도 유효할지 모른다. 한국을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한국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던 일본을 통해 이해해보는 것. 계속 디깅하고 공부를 더 한 후 또 정리를 이어가 보아야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